온 페이퍼
on paper
December 7, 2022 – January 7, 2023 | PKM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7길 40 | T. 02 734 9467
∙ 참여 작가: 강이연, 구정아, 구현모, 권진규, 김지원, 백현진, 서승원, 신민주, 윤형근, 이상남, 이원우+Trojan X, 정영도, 조덕현, 코디 최, 홍영인
PKM 갤러리는 2022년을 마무리하는 전시로 «온 페이퍼»를 개최한다. 본 전시에서는 한국 근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에서부터 현재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동시대 미술 작가에 이르는 15인의 종이 작업 40여 점이 소개되며, 종이라는 매체를 통해 다양한 시대와 장르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그들의 예술적 지향이 자유롭게 교류하는 장을 보여준다.
종이는 가볍고 휴대하기 편리한 재료이자 흑연, 색연필, 수채, 유채 등 각종의 안료를 순수하게 받아들이는 중립적인 지지체로, 미술가들은 이처럼 열린 매체인 종이를 작업에 다양하게 적용해왔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샘솟는 순간과 생각이 진화하는 과정들을 붙잡아 두는 수단으로 종이를 손쉽게 사용하면서도, 종이 작업 그 자체가 완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화면 내부의 형상과 구성을 부단히 고민해온 것이다.
«온 페이퍼»는 종이 작업을 주 작품을 위한 전편 (prequel)이나 파생된 형태의 속편 (sequel)으로 여기는 시각에서 나아가, 고유의 아름다움을 지닌 독립체로 주목한다. 동시에 그 다종다양한 아름다움의 스펙트럼이 각 미술가의 종이 작업에서 어떻게 펼쳐지는지 살펴보고자 본 전시는 기획되었다.
故 권진규 (1922-1973)가 1950년대 일본 유학 시절 제작한 펜화와 故 윤형근 (1928-2007)이 1960-1980년대 스케치북, 모눈종이, 책의 낱장 등 일상의 소재에 그린 습작들은 이들의 조형 언어가 확립되어 가는 과정을 꾸밈없이 드러낸다. 이상남 (b.1953)은 그를 대표하는 도시 문명의 리드미컬하면서도 섬세한 조형 기호들을 펜과 종이가 만나는 지점에서 완성도 높은 아름다움으로 승화시키며, 김지원 (b.1961)은 작업의 주된 모티프인 ‘맨드라미’와 ‘레몬’을 캔버스 회화보다 경쾌하고 생생한 터치로 종이 위에 담아냈다. 서승원 (b.1941)은 햇볕이 창호지에 어슴푸레 투과되듯 색과 빛이 은근하게 진동하는 ‹동시성› 종이 연작을, 신민주 (b.1969)는 물감을 과감히 도포하고 이를 스퀴지로 빠르게 밀어내며 붓질의 여러 결을 드러낸 ‹PD›, ‹DW› 연작을, 조덕현 (b.1957)은 루벤스의 ‹십자가에서 내려지는 예수› (1612–1614) 속 종교적, 인간적인 비극의 이미지를 인용한 ‹descending› 장지 연작을 선보인다. 이상의 종이 작업은 각 작가가 작품세계에서 끈질기게 탐구해온 주요 화두를 가볍지만 깊이 있게 내던진다.
한편, 가까이서 볼 때 새로운 부분들이 발견되는 구정아 (b.1967)의 섬세한 펜 드로잉과 그날그날의 몸짓에 따른 백현진 (b.1972)의 페인팅은 특정 주제를 함축하기보다 제스처적이고 직관적인 작업에 가까우며, 장르에 구분을 두지 않는 이들의 유연한 태도를 반영한다. 홍영인 (b.1972)은 최근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선보인 ‹탈위계적 연습› 퍼포먼스의 안무가와 음악가의 동선을 구상하며 만든 벽지 콜라주 작업을, 구현모 (b.1974)는 작업실 마당의 고욤나무 외피에서 얻은 프로타주와 포장 판지의 패턴을 내용물로 삼은 조각을, 정영도 (b.1985)는 칠하고 접고 자르고 이어 붙여 추상과 구상, 평면과 입체를 넘나들게 한 페이퍼 워크를 선보이며, 종이 작업의 영역을 더욱 다채롭게 확장한다.
디지털 베이스의 강이연 (b.1982)과 코디최 (b.1961)는 디지털 드로잉이 물리적인 형태 (physical drawing)로 변환한 작업을 보여준다. 강이연은 코엑스 K팝 스퀘어에서 전시 중인 대형 LED 월 작업 ‹Vanishing›의 기초가 된 일부 이미지를, 코디최는 1999년부터 축적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작가만의 알고리즘으로 조정하여 최근 NFT 작업으로 발전시킨 결과물의 프린트 버전을 선보인다. 이원우 (b.1981)는 작가가 직접 그린 ‹너는 나의 불타는 빛› 드로잉과 그가 발명한 인공지능 아티스트 Trojan X가 그린 채색화를 함께 출품했다. 인간 신체와 기계 기술이 합작하여 만들어낸 이들의 종이 작업은 21세기의 풍경 그 자체를 반영하고 있다.
종이가 B.C. 2세기에 발명된 이래 지식과 문화를 교류하는 매개체 역할을 해왔듯이, «온 페이퍼»는 참여 작가들의 서로 다른 생각과 언어를 자연스럽게 담아내는 그릇이면서 자유로운 실험 과정과 그들 주변 세계를 가장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매체 장르로서의 종이 작업들을 통해 관객들에게 보다 폭 넓고 신선한 예술적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on paper
December 7, 2022 – January 7, 2023 | PKM
40, Samcheong-ro 7-gil, Jongno-gu, Seoul | T. 02 734 9467
∙ Participating Artists: Bek Hyunjin, Cho Duck Hyun, Cody Choi, Young In Hong, Young Do Jeong, Yiyun Kang, Kim Jiwon, Koo Hyunmo, Koo Jeong A, Kwon Jin Kyu, Sang Nam Lee, Wonwoo Lee+Trojan X, Shin Min Joo, Suh Seung-Won, Yun Hyong-keun
PKM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on paper as an exhibition to wrap up 2022. The exhibition introduces around 40 works on paper by 15 artists, from those who represent Korean modern art to contemporary artists who are currently active, and provides a stage where the boundaries of various eras and genres are broken down and the artists’ artistic directions are exchanged unrestrained through the medium of paper.
Paper is a light and portable material and a neutral matrix that generously accommodates different materials such as graphite, colored pencil, watercolor, and oil paint, and being such an open medium, artists have applied paper in their works in multiple ways. While paper is widely used as a means to capture the emerging moment of new ideas as well as each stage of the evolution of thoughts, artists have been constantly contemplating the form and composition of the screen of paper so that works themselves can have a sense of completion.
on paper points out works on paper as entities with their inherent beauty, moving beyond the perspective of regarding paper works as a prequel to the main work or a sequel in a derived form. At the same time, the exhibition was curated to examine how those diverse spectrums of beauty unfold in each artist’s paper works.
The pen drawings Kwon Jin Kyu (1922-1973) made while studying in Japan in the 1950s and Yun Hyong-keun’s (1928-2007) studies from the 1960-80s on everyday materials like a sketchbook, graph paper, and a leaf of a book plainly reveal the process by which their artistic language was established. Sang Nam Lee (b.1953) sublimates the rhythmic yet delicate formative symbols of his representative urban civilization into a higher standard of beauty at the point where pen and paper meet, while Kim Jiwon (b.1961) encapsulates ‘mendrami’ and ‘lemon,’ the main motifs of his works, with a lighter and more vivid touch on paper than on canvas. Suh Seung-Won (b.1941) presents a paper series titled Simultaneity, in which colors and light vibrate subtly just as sunlight barely penetrates changhoji (traditional Korean paper made from mulberry bark), Shin Min Joo (b.1969) unveils the PD and DW series, in which paint is boldly applied and pushed quickly with a squeegee to reveal the varied textures of brush strokes, and Cho Duck Hyun (b.1957) displays a rice paper series, descending, which quotes images of religious and human tragedy from Rubens’ The Descent from the Cross (1612-1614). These works on paper bring up the key topic that each artist has been persistently exploring in the art world in a light yet deep tone.
Meanwhile, Koo Jeong A’s (b.1967) delicate pen drawing, where new parts are discovered when viewed at near distance, and Bek Hyunjin’s (b.1972) paintings, which correspond to the bodily movements of every day, are closer to gestural and intuitive works than implying a specific theme, reflecting their flexible attitude of not setting a limit on genres. Young In Hong (b.1972) presents a wallpaper collage created while mapping out the movement of choreographers and musicians in the performance of Meta-hierarchical Exercise, which was recently presented at Seoul Museum of Art, Koo Hyunmo (b.1974) showcases a piece of frottage obtained from the skin of date-plum tree in the yard of his studio and a sculpture using patterns of cardboard package as its contents, and Young Do Jeong (b.1985) offers works in which he paints, folds, cuts, and connects papers, straddling the abstract and the figurative and two-dimension and three-dimension, thereby expanding the scope of works on paper multifariously.
Digital-base artists Yiyun Kang (b.1982) and Cody Choi (b.1961) show physical works that have been converted from digital drawings. Yiyun Kang presents selected images that form the basis of a large-scale LED wall work, Vanishing, which is on display at COEX K-POP Square, while Cody Choi presents a print version of the outcome that was recently developed as a NFT work, where the artist adjusted the digital image data accumulated since 1999 with his own algorithm. Wonwoo Lee (b.1981) submitted a drawing, You are my burning light, drawn by the artist himself and a colored painting drawn by Trojan X, an artificial intelligence artist invented by Wonwoo Lee. These paper works, which were created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the human body and the machine technology, are a reflection of the 21st century in itself.
Just as paper has served as a medium for exchanging knowledge and culture since its invention in the 2nd century B.C., on paper acts as a vessel that naturally collects the different thoughts and languages of the artists. And through works on paper, a medium that most directly reflects the freely experimental processes and the world surrounding the artists, the exhibition will provide a broader and fresh experience to the viewers.